[ECMWF] Seasonal forecasts - Subdaily and daily (CFSv2): Total precipitation 03
이전 글에서는 ECMWF에서 제공하는 Seasonal forecasts - Subdaily and daily 데이터 중 NCEP CFSv2의 강수량을 살짝 살펴보았다.
해당 글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.
1) ECMWF에서 제공하는 CFSv2 강수량은 공식 문서 상 24시간 누적 강수량이라 함.
2) 하지만 시계열을 그려보면 적분 기간 동안 나날이 누적되는 것으로 보임.
3) 나날이 하루 전의 값을 빼 일별 24시간 누적 강수량을 구해서 사용해야 할 것 같음.
본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 제시했던 방법으로 일별 24시간 누적 강수량을 구해보고,
NCEI에서 제공하는 원 데이터와 비교해 봄으로써
후처리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한다.
1. NCEP CFSv2의 원 데이터 가공
NCEI는 사실 편의상 내가 부르는 것 뿐이다.
아마 NOAA의 산하 기관이지 않을까?
NCEP CFSv2 원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곳이 NCEI 서버인 것 같다.
데이터는 아래의 링크에서 받을 수 있다.
근데 요즘 자주 서버가 오락가락 한다.
열받는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,
6-hourly로 3개월 이상의 예측장을 공개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게
거의 이곳 뿐이라서 울며 겨자먹기로 사용 중이다.
Index of /data/climate-forecast-system/access/operational-9-month-forecast/6-hourly-flux
www.ncei.noaa.gov
원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강수량은 Precipitation rate로, 단위는 kg/m^2/s이다.
초당 단위면적에 내리는 비의 무게라고 할 수 있으려나.
물의 밀도를 일정하다고 가정한다면, mm/s와 동일하다.
문제는 6시간 간격으로 값이 있다는 것인데,
이를 각각 누적 강수량으로 바꿔주기 위해 각 시각마다 21,600을 곱했다.
21,600은 6시간의 초에 해당하는 값으로,
kg/m^2/s = mm/s인 값에 6시간의 초를 곱해줌으로써
6시간 누적 강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.
여기에 1,000을 나누면 m 단위의 누적 강수량 값을 얻을 수 있다.
그 후 위의 그림처럼 전 날의 06, 12, 18시와 당일 00시의 값을 모두 더하면
당일 00시의 24시간 누적 강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.
위 그림은 1월 22일 06시, 12시, 18시, 1월 23일 00시, 총 네 값을 더해서
1월 23일 00시의 24시간 누적 강수량 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.
2. 시계열 그림으로 비교
24시간 누적 강수량으로의 변환이 완료된 원 데이터와
ECMWF에서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시계열로 그려보았다.
피크 부분에서는 NCEI의 원 데이터가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지만,
변동성이 동일하다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유사하다.
피크 부분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아마 수평 격자 해상도의 차이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.
보통 수평 격자 해상도가 높을수록 피크값을 더 잘 표현하며,
낮을수록 값이 다듬질 되는 편이다. (smoothing)
3. 결론
결론을 크게 두 개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.
1) ECMWF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NCEP CFSv2 Subdaily and daily 데이터 중 Total precipitation은 나날이 그 전날 값을 빼서 일별 24시간 누적 강수량을 구한 후 사용해야 함.
2) NCEI 서버에서 NCEP CFSv2의 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은 경우, Precipitation rate는 이전 6시간의 누적 강수량을 토대로 계산된 값인 것을 인지해야 함.
- 끝 -